CS/네트워크

OSI 모델 3계층 - 네트워크 계층

박 성 하 2023. 3. 23. 16:20
728x90

1. 네트워크 계층

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

 

라우터

: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주는 기능

 

IP 주소

: MAC 주소만으로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없기에

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

 

IP 패킷

: 네트워크 계층에서 캡슐화 시 IP 헤더를 붙임

IP 헤더에는 대표적으로 '출발지 IP 주소'와 '목적지 IP 주소'가 있음

 

2. IP 주소

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게 받을 수 있음

 

IP 버전

1) IPv4

: 32비트 (=약 43억개)

 

2) IPv6

: 128비트 (=약 340간, 무한대)

IP 주소가 부족해지면서 만들어짐

이 버전 덕분에 냉장고, 에어컨도 인터넷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

 

IP 종류

1) 공인 IP 주소

: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

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컴퓨터나 라우터

 

2) 사설 IP 주소

: 회사나 가정의 랜에 있는 컴퓨터

 

 

공인 IP주소라우터에만 할당하고
랜 안에 있는 컴퓨터에는 랜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자유롭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거나 라우터의 DHCP 이용

IP 구조

1) 네트워크 ID

: 어떤 네트워크인지를 나타냄

 

2) 호스트 ID

: 해당 네트워크의 어느 컴퓨터인지를 나타냄

 

IP 구조의 종류

컴퓨터나 라우터가 자신의 IP로 사용하면 안되는 주소

1) 네트워크 주소

: xxx.xxx.xxx.0

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데 사용

전체 네트워크의 대표 주소

 

2) 브로드캐스트 주소

: xxx.xxx.xxx.255

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장비 모두에게 한 번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용 IP 주소

 

3. IP 주소 클래스

네트워크 ID를 크게 만들거나 호스트 ID를 작게 만들어 네트워크 크기 조정

 

A 클래스

네트워크 ID : 8비트

호스트 ID : 24비트

 

B클래스

네트워크 ID : 16비트

호스트 ID : 16비트

 

C클래스

네트워크 ID : 24비트

호스트 ID : 8비트

 

사설 IP는 절대로 공인 IP 주소로 사용할 수 없음

 

4. 서브넷

서브넷팅

: 대규모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좁히는 것

 

서브넷

: 서브넷팅된 네트워크

 

기존의 IP : 네트워크 ID + 호스트 ID
서브넷 후 : 네트워크 ID + 서브넷 ID + 호스트 ID
= 호스트 ID로 사용되던 비트를 서브넷 ID로 바꾸는 것

 

서브넷 마스크

: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식별하기 위한 값

 

1) A 클래스

255.0.0.0

 

2) B 클래스

255.255.0.0

 

3) C 클래스

255.255.255.0

 

 

5. 라우터

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 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 가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주는 기능

네트워크 분리

 

 

라우팅

: IP주소를 목적지로 지정

데이터를 어떤 경로로 보낼지도 결정

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해야함

 

라우팅 테이블
: 경로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

라우팅 프로토콜

: 라우터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

RIP, OSPF, BGP ... 

728x90
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의 전체 흐름  (0) 2023.06.23
OSI 모델 7계층 - 응용 계층  (0) 2023.03.29
OSI 모델 2계층 - 데이터 링크 계층  (0) 2023.03.21
OSI 모델 1계층 - 물리 계층  (0) 2023.03.05
네트워크 기본 규칙  (0) 2023.03.04